대한민국 국가비상기획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가비상기획위원회는 비상대비자원관리법에 따라 2007년 4월 27일 신설되어 2008년 2월 29일 폐지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행정기관이다. 국가안전보장회의 산하 민방위 개선위원회에서 시작하여, 국무총리 보조기관을 거쳐 국가비상기획위원회로 변경되었다. 위원회는 위원장(차관급) 1명, 상임위원 2명 및 비상임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사무처를 두었다. 2007년 11월부터 2008년 2월까지는 종합상황실을 운영했다. 마지막 위원장은 안광찬이었다. 2008년 폐지 후 소관 업무는 행정안전부로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폐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2008년 폐지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행정안전부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국무회의 서무, 지방자치제도, 선거, 국민투표 지원, 안전 및 재난 관련 정책 수립 등을 관장한다.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2007년 설립 - BMO 필드
BMO 필드는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FIFA U-20 월드컵 유치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축구, 캐나디안 풋볼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를 개최하고 2026 FIFA 월드컵 경기를 개최할 예정이다. - 2007년 설립 - 양산시외버스터미널
양산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하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인천국제공항행 고속버스 및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2017년 이후 터미널 내에서 시내버스 이용은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국가비상기획위원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국가비상기획위원회 |
현지어 이름 | 國家非常企劃委員會 |
영어 이름 | National Emergency Planning Commission |
한글 이름 | 국가비상기획위원회 |
한자 이름 | 國家非常企劃委員會 |
가타카나 이름 | 국가비상기획위원회 |
기관 정보 | |
설립일 | 2007년 4월 27일 |
전신 | 비상기획위원회 |
해산일 | 2008년 2월 29일 |
후신 | 행정안전부 |
2. 연혁
- 1965년 2월 2일 - 국가안전보장회의 산하에 민방위 개선위원회 설치.
- 1966년 5월 20일 - 민방위 개선위원회를 해체하고 국가동원체제 연구위원회 설치.
- 1968년 1월 21일 - 국가동원체제 연구위원회에 총무회계반 구성.
- 1969년 3월 24일 - 비상기획위원회 설치.
- 1984년 8월 4일 - 국무총리 보조기관으로 소속 변경[2]。
- 2007년 4월 27일 - 비상기획위원회를 폐지하고 '''국가비상기획위원회'''를 신설.
- 2007년 7월 28일 - 국가비상기획위원회로 명칭 변경[3]。
- 2008년 2월 29일 - 국가비상기획위원회를 폐지하고 소관 업무를 행정안전부로 이관 및 흡수·통합.
3.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4. 조직
대한민국 국가비상기획위원회는 위원장(차관급) 1명, 상임위원 2명 및 15명 이내의 비상임위원으로 구성된다.[4] 상임위원 중 1명은 사무처장을 겸임한다. 위원장 아래에는 정책홍보관리관이 겸임하는 대변인을 두어 위원회 업무를 대외적으로 알린다.
4. 1. 사무처 (2007년 7월 ~ 2008년 2월)
직위 | 소속 부서 |
---|---|
사무처장 | 사무처 (2007년 7월 ~ 2008년 2월) |
정책홍보관리관 | |
혁신기획팀 (관리관 보좌) | |
홍보법무팀 (관리관 보좌) | |
비상대비정책연구팀 (관리관 보좌) | |
정보화기획팀 (관리관 보좌) | |
총무과 | |
비상계획국 | |
인력장비정보담당관 (국장 보좌) | |
동원정책과, 정부기능과, 재정산업동원과 | |
비상대비교육훈련국 | |
연습훈련담당관 (국장 보좌), 비상대비인력운영담당관 (국장 보좌), 교육평가과 |
4. 2. 종합상황실 (2007년 11월 ~ 2008년 2월)
2007년 1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대한민국 국가비상기획위원회의 종합상황실은 사무처 소속이었다. 사무처는 정책홍보관리관, 총무과, 비상계획국, 비상대비교육훈련국으로 구성되었다. 정책홍보관리관은 혁신기획팀, 홍보법무팀, 비상대비정책연구팀, 정보화기획팀의 지원을 받았다. 비상계획국은 인력장비정보담당관, 동원정책과, 정부기능과, 재정산업동원과의 지원을 받았다. 비상대비교육훈련국은 연습훈련담당관, 비상대비인력운영담당관, 교육평가과의 지원을 받았다.5. 역대 위원장
대한민국 국가비상기획위원회한국어 위원장은 참여 정부 시절 안광찬 위원장이 있었다.
5. 1. 국가비상기획위원회 위원장
6. 관련 기관
참조
[1]
법률
非常対備資源管理法
[1]
대통령령
국가비상기획위원회규정
[2]
법률
非常対備資源管理法
[3]
법률
非常対備資源管理法
[4]
법령
국가비상기획위원회규정
2007-11-30
[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